맨위로가기

죽산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산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후손인 박기오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박기오는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벽상공신에 책봉되고 죽주백에 봉해져 죽산을 본관으로 삼았다. 죽산 박씨는 충질공파와 소경공파로 크게 나뉘며, 박서, 박문보, 박원형, 박명현 등 여러 인물을 배출했다. 주요 집성촌은 경상남도 고성군, 남해군, 전라북도 남원시 등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죽산 박씨 - 박철수 (영화 감독)
    대한민국의 영화 감독 박철수는 1978년 데뷔하여 멜로드라마 연출 후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 여성의 욕망과 사회적 억압을 탐구하는 실험적인 작품을 만들었으며 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 죽산 박씨 - 박제환 (1905년)
    박제환은 도시샤 대학교 법학부를 졸업하고 수리조합연합회 경기도 지부장, 부천군 권업과장, 경기도 식량과장을 거쳐 농림부 장관과 제2대, 제5대 국회의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죽산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죽산 박씨
竹山朴氏
관향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시조박언립(朴彦立)
원시조박혁거세(朴赫居世)
중시조박기오(朴奇悟)
집성촌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옥산리
인구 (2015년)63,179명
주요 인물박서
박원형
박홍구
박경신
박주현
박제환
박기성
박필수
박승웅
박철수
박준일
박찬의
박용원

2. 역사

신라 54대 경명왕의 넷째 아들인 죽성대군 박언립(朴彦立)의 아들 박기오(朴奇悟)가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랐다.[1] 그는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르고 죽주백(竹州伯)에 봉해져 죽주(죽산) 지역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후손들이 죽산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1]

죽주(竹州)는 용인군안성군 일부에 속해 있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가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고려 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 죽산(竹山)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895년(고종 32) 군(郡)이 되었다가 1913년 원일면과 근삼면 일부는 용인군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에 합해졌다.[1]

죽산 박씨는 시대 변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렸다.[2]


  • 죽성 박씨(竹城 朴氏) - 신라 말기 죽성대군
  • 죽주 박씨(竹州 朴氏) - 고려 초기 죽주 식읍
  • 죽산 박씨(竹山 朴氏) - 현재


죽산 박씨는 크게 충질공파(忠質公派, 파조 박정유)와 소경공파(少卿公派, 파조 박정혁)로 나뉜다. 충질공파에서는 박서를 파조로 하는 철성백파(鐵城伯派)가 분파되었고, 철성백파에서 다시 고성 박씨, 음성 박씨, 철성 박씨가 분파되었다.[1] 소경공파에서는 문광공파(文匡公派), 태복경파(太僕卿派), 총제공파(摠制公派) 등이 분파되었다.

2. 1. 시조 및 기원

신라 54대 경명왕의 넷째 아들인 죽성대군 박언립(朴彦立)의 아들 박기오(朴奇悟)가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에 올랐다.[1] 태보(太保)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오르고 죽주백(竹州伯)에 봉해져 죽주(竹州, 현재의 죽산) 지역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후손들이 죽산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1] 고려시대 죽주(竹州) 지역은 현재 경기도 안성시 지역을 말하며, 고려시대 죽주박씨(竹州朴氏)는 현재 죽산박씨(竹山朴氏)라 부른다.[1] 죽산박씨 시조(박기오)의 할아버지는 신라 54대 경명왕이며, 아버지는 경명왕의 넷째 아들 죽성대군(박언립)이다.[1]

2. 2. 본관 변천

죽주(竹州)는 용인군안성군 일부에 속해 있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다. 신라 경덕왕 때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가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고려 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조선 태종 13)에 죽산(竹山)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895년(고종 32) 군(郡)이 되었다가 1913년 원일면과 근삼면 일부는 용인군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에 합해졌다.[1]

죽산 박씨는 시대(역사) 변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불렸다.[2]

  • 죽성 박씨(竹城 朴氏) - 신라 말기 죽성대군
  • 죽주 박씨(竹州 朴氏) - 고려 초기 죽주 식읍
  • 죽산 박씨(竹山 朴氏) - 현재

2. 3. 분파

죽산 박씨는 크게 충질공파(忠質公派, 파조 박정유)와 소경공파(少卿公派, 파조 박정혁)로 나뉜다.

충질공파에서는 박서를 파조로 하는 철성백파(鐵城伯派)가 분파되었고, 철성백파에서 다시 고성 박씨, 음성 박씨, 철성 박씨가 분파되었다.[1] 음성 박씨와 고성(철성) 박씨는 박서의 후손들이 각각 음성과 고성을 식읍으로 하사받아 분적한 것이다. 고성 박씨는 1839년(헌종 5년)에 다시 죽산 박씨로 복관되었으나, 일부는 여전히 고성 박씨를 본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소경공파에서는 문광공파(文匡公派), 태복경파(太僕卿派), 총제공파(摠制公派) 등이 분파되었다. 문광공파는 다시 죽산군파(竹山君派) 박문보, 문충공파(文忠公派), 판서파(判書派) 박순, 제학파(提學派), 충현공파(忠顯公派) 등 5파로 나뉜다.

파명파조
충질공파(忠質公派)박정유
철성백파(鐵城伯派)박서
소경공파(少卿公派)박정혁
문광공파(文匡公派)박전지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박익
대사헌공파(大司宪公派)박중의(仲宜)
문헌공파(文憲公派)박원형
문정공파(文靖公派)박원정
전서공파(典書公派)박언
판관공파(判官公派)박인
정랑공파(正郞公派)박첨
사정공파(司正公派)박도
교하공파(交河公派)박도
직장공파(直長公派)박조
별장공파(別將公派)박문질
제학공파(提學公派)박승수
충현공파(忠顯公派)박문수
태복경파(太僕卿派)박의지
목사공파(牧使公派)박현공
총제공파(摠制公派)박덕공
찬성공파(贊成公派)박훤, 박계형


3. 주요 인물


  • 박서 - 고려 고종 때의 무신으로, 살리타가 이끈 몽골군을 격파한 공로로 철성백에 봉해졌다. 국가 호국영웅으로 추앙받고 있다.[1]
  • 박전지 - 고려 충숙왕 때 수첨의찬성사를 지냈다.
  • 박문보 - 고려 말 정당문학으로 죽산군에 봉해졌다.
  • 박원형 - 조선 예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 박명현 - 조선 정유재란 때 공을 세워 연창군에 봉해졌다.
  • 박홍구 - 조선 광해군우의정을 지냈다.
  • 박신룡 - 조선 정묘호란 때 용만전투에서 순절하였다.
  • 박주현 - 조선 고종 때 사간원 정언 등을 역임했다.

4. 집성촌

죽산 박씨 집성촌
지역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무림리
전라북도 남원시 수지면 호곡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옥산리
강원도 홍천군 서면 대곡리
황해도 연백군 괘궁면 도성리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평안북도 선천군 남면 삼봉동 (현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경상북도 청도군 원정동
경상남도 합천군 쌍백면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


5. 항렬자

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41세42세43세44세45세46세
영(永)植|식중국어환(煥)基|기중국어진(鎭)求|구중국어
洪|홍중국어
병(秉)
영(榮)
烈|열중국어
勳|훈중국어
환(煥)
재(在)
균(均)
鎬|호중국어
鍾|종중국어
鈺|옥중국어
홍(洪)秀|수중국어병(炳)圭|규중국어용(鎔)


참조

[1] 문서 박인석 묘지명
[2] 문서 김중구 묘지명
[3] 문서
[4] 문서 죽산박씨 족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